[연합뉴스] 트럼프 행정부 '한국이 미국 와 원전 지어달라' 제안
- 작성일2025.08.22
- 수정일2025.08.22
- 작성자 관*자
- 조회수84
한수원·한전-웨스팅하우스 합작사 설립 논의…지분비율 등 주도권 놓고는 신경전
李·트럼프 정상회담서 원전협력 논의 관측도…美시장 '우회진출' 길 열리나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자국의 원전 확충을 위해 시공 능력에 강점을 가진 한국의 적극적 참여를 희망한다는 뜻을 우리 정부에 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수력원자력과 웨스팅하우스는 지난 1월 지식재산권 분쟁 해소를 계기로 미국, 유럽 등 선진 시장을 중심으로 다시 커지는 원전 시장을 '팀 코러스'(Team Korea+US) 차원에서 공략하기 위한 합작회사(조인트벤처)를 만드는 논의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통상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이뤄진 한미 에너지 당국 접촉 과정에서 미국 고위 당국자는 우리 측에 자국 내 원전 확대 계획을 소개하면서 한국 기업들이 적극적인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는 뜻을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화석연료 경제 부활과 더불어 원전의 대대적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2050년까지 현재 약 100GW(기가와트)인 원전 설비용량을 400GW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신규 원전 인허가 기간도 18개월로 대폭 단축했다. 미국이 추가로 짓겠다고 한 300GW는 1GW 기준으로 하면 원전 약 300기 분량에 해당한다.
트럼프 행정부는 당장 2030년까지 10기 원전을 착공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업계에서는 이마저도 전례 없는 많은 물량으로 사업자 선정부터 자금 조달, 실제 착공까지 실현 과정에 상당한 도전 요인이 있을 것으로 본다.
트럼프 행정부가 사실상 도움을 요청한 것은 미국이 설계 등 원천 기술 강국임에도 1979년 스리마일섬 원전 사고 이후 신규 건설 인허가가 장기간 중단되면서 자국내 공급망이 사실상 붕괴했기 때문이다.
원천 설계 기술을 가진 웨스팅하우스의 경우 지식재산권을 가졌지만 시공 역량이 없어 반도체로 치면 '팹리스 기업'처럼 됐다. 실제 대규모로 원전 건설을 하려면 시공, 기자재 조달, 운영 과정을 주도할 사업 파트너가 필요하다.
미국이 빠진 사이 세계 원전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운 러시아·중국 기업들을 제외하면 자체 공급망을 보유하고 자국이 아닌 해외에 진출해 원전을 건설할 수 있는 종합 시공 능력을 갖춘 나라는 프랑스 전력공사(EDF)가 있는 프랑스와 한국 정도다.
-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